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attr(), prop() 아무거나 때려 넣어보고 나오면 지나가고, 안되면 바꿔보고, 맨날 찾아보고 ... 이게 뭐하는 짓이고 ㅠㅠ 구냥 내가 정리허자 무슨 차이가 있고, 어떤 경우에 어떤 메소드를 사용하는지! .attr() 어어 그래그래. attr내부에 적은 attribute 이름의 값을 가져오는데, 첫번째로 발견된 element의 값을 가져온대 여러개 가져올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려면 .each() / .map() 메소드의 loop를 통해 가져올 필요가 있다지 이건 prop도 다를바가 없지 않나요...? 😨 값을 가져올 때 String/Number/Null로 가져온대 이건 몰랐삼 .attr()로 함수를 리턴할 생각은 없으니까 못본 척.. 흐린 눈.... jQuery만 연결되어 있다면, 어떤 메소드랑도..
if문 만들 때 if(!값){로직} 하면, 값이 없을 때 중괄호 안 로직 실행 if(!!값){로직} 이건 뭐임? 가보자고 let val = "값"; console.log(val); //값 console.log(!val); //false console.log(!!val); //true 어 이렇대 !는 많이 사용했었기 때문에 알고 있었지 즉, 느낌표는 Boolean으로 타입을 바꿔주고 !는 false, !!는 true를 의미

면접 때, 이 질문을 받았었다. 'LIKE절에서 인덱스를 어떻게 거나요?' %를 앞 뒤, 또는 앞이나 뒤에만 붙여서 검색하는 방법만 사용해봤기에... 하지만 이게 답은 아닐 것 같았다. 결국 그 때 같이 면접봤던 3명 모두 그 대답을 하지 못했다. 그 날 집에와서 찾아봤었고, 뭔지는 어렴풋이 알았지만 다른 것들 준비하고, 공부한다고 정리는 못해뒀다. 그걸 지금 한다~ 1. WHERE 컬럼명 LIKE %ABC 2. WHERE 컬렴명 LIKE %ABC% 3. WHERE 컬럼명 LIKE ABC% 사실 mapper이용해서 쿼리로 긁어올 때를 생각하면 1, 2, 3 모두 잘 적용이 됐었던 걸로 기억한다. DB가 양이 부족했나? 헉.. 여기저기 찾아보니까 한 1만개 정도는 해야 이게 티가 나나보다...ㅎㅎㅎㅎ 나는..
MVC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VO와 DTO 나는 주로 VO를 많이 사용하는데, DTO랑 VO가 뭐가 다른지도 모르고 그냥 사용해왔다.. 사용은 안해도 차이는 알아야 적재적소에 사용하므로 알아보도록 하겠어 DTO DTO는 계층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객체로써, getter/setter를 사용하여 보내는 사람은 setter를 사용하여 값을 담고, 받는 사람은 getter를 사용하여 값을 꺼내 쓴다. 이때 값의 변조를 막고 싶다면 생성자로 불변 객체로 만들어 버리면 된다. 또한 DTO의 특성상 데이터 전달만은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getter/setter를 제외한 다른 로직이 필요가 없다. public class MemberDto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 Total
- Today
- Yesterday
- ol>li
- 합격
- 긴문장
- tablespan
- marktag
- emtag
- pretag
- hr tag
- 2021년2회
- boldtag
- ul>li
- 2021년42회
- hn태그
- usemap
- html
- ptag
- 93점
- 비전공
- imgtag
- 정처기
- 단락태그
- 정보처리기사
- spantag
- definition List
- tabletag
- 정보처리기사필기
- 줄글
- br tag
- 정보처리기사실기
- 복습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